728x90 반응형 지원3 청년사업가 농촌 정착 지원 위해 생활기반 조성 농촌 청년창업 활성화…470억 원 규모 성장펀드 조성·투자 농식품부, 농업·농촌 청년정책 발표…개혁 과제 52개 추진농업법인 사업범위 전후방으로 확대…청년 주도 농정체계 구축 정부가 미래 농식품산업을 이끌어갈 청년들을 위한 현장밀착형 개혁과제 52개를 추진한다. 청년들의 농촌 유입을 위해 1200억 원을 투입해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청년농업인 3만 명에 이어 청년기업가를 육성해 농촌에 새로운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의지다.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송미령 장관이 충북 진천 청년창업 복합문화공간 ‘스퀘어’에서 농업·농촌 청년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고 밝혔다.청년의 아이디어와 현장의 목소리를 기반으로 마련한 이번 대책은 ▲농업·농촌 청년정책의 범위를 기존 농업 생산 중심에서 농식품산업 가치사슬 전 분야로 확대 ▲자유로운 청년창업을 저해하는 규제 혁파 ▲정책과정에서 청년의 .. 2024. 8. 11.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27년까지 스마트농업 비중 30%까지 늘린다 오는 2027년까지 스마트농업 비중 30%까지 늘린다26일부터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육성지구 지정·전문인력 양성 등 ‘미래형 농산물 생산체계’ 구축 오는 2027년까지 스마트농업 생산비중이 30%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26일부터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와 농업인구 고령화는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어 농식품업계는 이에 대응해 스마트농업 기술의 상용화와 확산에 힘써왔다.이러한 산업계의 노력에 발맞춰 윤석열 정부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면서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 등 대책을 마련했다.그러나 스마트농업의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가.. 2024. 7. 26. 춘천형 위기가구 생활 안정 지원사업 춘천형 위기가구생활안정지원사업 지원대상위기상황에 처한 본인 또는 본인과 생계 및 주거를 같이 하고 있는 세대원 위기상황∘ 주 소득자가 사망하거나 가출, 행방불명, 구금 시설 수용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중한 질병이나 부상을 당한 경우∘ 가구 구성원으로부터 방임 또는 유기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가구 구성원으로부터 가정 폭력 또는 성폭력을 당한 경우∘ 화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나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한 경우∘ 주 소득자 또는 부 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영업이 곤란하게 된 경우(1년 이내)∘ 주 소득자 또는 부 소득자의 실직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1년 이내, 3월 이상 근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방자치 단체.. 2024. 7. 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