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com, pub-9617598002258632, DIRECT, f08c47fec0942fa0 google-site-verification=38Fw_HGxIAyqlRxWcfdqgvqmDpA_8j85bd7gwXySG-Y 2006년생 청년에게 최대 15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오는 6일부터 발급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06년생 청년에게 최대 15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오는 6일부터 발급

by 나라신유 2025. 3. 5.
반응형

'청년 문화예술패스' 6일부터 발급…최대 15만 원 관람비 지원

인터파크·예스24 및 11개 국립 예술단체·공연시설 관람권 할인 혜택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 청년에게 최대 15만 원을 지원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오는 6일부터 발급한다.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 받으면 국립극단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에서 관람권 할인 혜택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오는 6일 오전 10시부터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인 '청년 문화예술패스' 발급을 공식 누리집(youthculturepass.or.kr)에서 신청받는다.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소득과 관계없이 올해 19세가 되는 국내 거주 2006년생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전국 17개 시도별로 정해진 청년 수에 따라 신청순으로 발급한다.

지역별로 발급 상황에 따라 조기에 마감될 수 있도 청년들은 발급받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포인트를 뮤지컬, 클래식, 콘서트 등의 공연과 전시 예매에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 기간은 6일부터 5월 31일까지며 사용기한은 발급일로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다.

다만,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발급받은 뒤 6월 말까지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이용자는 지원금을 환수하고 2차 발급을 통해 더욱 많은 청년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립극단 등 11개 국립 예술단체와 공연시설들은 청년 문화예술패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관람권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할인 혜택을 주는 주요 공연을 살펴보면 ▲국립극단의 '만선(3.6~30)', '그의 어머니(4.2~19)'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베르디, 레퀴엠(3.9)',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6.13)' ▲국립중앙극장의 '보허자:허공을 걷는 자(3.13∼20)', '정오의 음악회(3.20)', 국립현대무용단의 '인잇:보이지 않는 것(3.21∼23) 등이 있다.

아울러 지역의 공연시설들도 다양한 할인 혜택으로 청년 문화예술패스 이용자를 기다린다.

주요 할인 공연은 ▲대전예술의전당의 '아침을 여는 클래식(3.11)' ▲경기아트센터의 '서가콘서트 <데미안>(3.15)', '마스터즈 시리즈II <투쟁, 극복, 환희>(4.19)' ▲강원문화재단의 '강원의 사계 <봄> 양인모&조나단 웨어(3.19)' ▲경기 광주시문화재단의 '제4회 연극페스티벌(3.28∼4.19)' ▲하남문화재단의 '대니 구 <프리마베라(Primavera)>(3.29)'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콘서트오페라 <아모오페라(Amopera)>(4.26∼27)' 등이 있다.

참여 기관과 공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이달 중순 이후부터 공식 누리집과 누리소통망(인스타그램 @youthpass19), 카카오톡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담당자는 "올해도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더욱 많은 청년이 우리 문화예술 현장에 함께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청년들이 문화예술로 더욱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즐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 문화정책과(044-203-251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누리팀(061-900-2270)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728x90
반응형